내용은 자동차 밧데리 수명 식별과, 교환주기 입니다.
일반분들이 전압을 테스트하고, 로드를 걸고 하는일은 좀 까다로운 일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식별하는 법을 몇가지 소개하겠습니다.
1. 제조년월일 판별법입니다.
밧데리의 윗부분을 보면 제조년월일이 나와있습니다.
로케트, 로얄의 경우는 판별하기 쉽게 0000년 00월 00일로 나와있구요.
델코의 경우는 3AR23 앞의 3은 2003년이란 뜻이고, A=1월 B=2월 ~~~~i 는 제외하고, M=12월 R=아무 의미없음 23= 일
이렇게 보면 되구요.
솔라이트 밧데리는 밧데리 취급 전문인이 아니면 조금 해석하기가 까다롭습니다.
솔라이트 B1WOT1 = 뒤에서부터 읽어야 합니다.
맨뒤 1= 년 T= i=1월 j=2월 ~~~~T=12월 이정도라고만 알면 제조년월일은 판독이 됩니다.
밧데리는 차량에 장착하지 않은상태에서 1년을 가만히 보관할수 있습니다.
새것인지, 아닌지만 판별하시면 낭패를 보기가 쉽습니다..
예를들자면 시중가 12만원짜리 제품을 인터넷특가 라면서 7만원에 판매한다면 십중팔구 3~4년이상묵은
이른바 "묵은지"제품일 공산이 크다는 겁니다.
그러나 밧데리업계의 현실은 유리처럼 투명한 마진폭을 가지고 있다는점 입니다.
겨우2~3만원을 마진으로 보고 판매하는 재품을 어찌 할인을 그리많이 한다는 겁니까?
그래서 더욱더 제조일자 식별법을 알아야 한다는 거죠.
또한가지는 솔*** 빼고는 제품표면에 각인방식으로 제조일을 표시하지 않는다는점 입니다.
로**,*코,***스등의 메이커에선 공히 레이저로 인쇄하기 때문이죠 솔***가 영세업체???ㅋㅋ
그럼 솔***가 아닌데 제조일자가 각인이 되어있다면????
당근 제조일을 위조하여 묵은지임을 숨기려는 목적이겠죠? ㅎㅎ
또한가지 최근에 옥*에 등록된 판매물품중에 솔***제품이 착한가격에 판매중임을 우연히 알게되었는데
어라~!! 이게뭐야?? 손잡이가 구형????........ 음.......시간만 날렸구나...ㅡ.ㅡ;;;
"심봤다!!!!"를 외쳐야되나?? OTL
이글을 읽으시는 여러분께 감히 한말씀드립니다.
정상유통되는 최근생산 새제품은 저렴할수가 없습니다.
엄연한 유통구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렴하다면 여러분께 판매하시는분이 정말 착하신거죠~~ㅎㅎ
2. 밧데리 배부른 상태
밧데리를 오래 사용하게 되면 옆으로 배가 부르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증상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제네레이터 과충전으로 인하여 배가 불러지는 현상입니다. 즉 충전을 과다하게 먹어서 배가 불러져서 밧데리의 수명이 저하되지요.
두번째는 가스배출구에 이물질이 껴서 배가불러지는 경우도 있으니. 배가불러지면 유의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수명이 다되면 그런현상이 자주 발생하오니, 제조년월일과 함께 판독해서 교환시기가 되었음을 유념하세요.
3. 인디케이터
거의 모든분들이 인디케이터의 상태만으로 밧데리를 체크할수 밖에 없는 상황이 많은데요.
제가 밧데리업에 종사하고 있다보니, 인디케이터는 수명에 그리 큰 비중을 둘필요는 없습니다.
* 여기서 잠깐 밧데리의 원리에 대해 조금 설명드리겠습니다.
밧데리는 납과, 황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밧데리의 충전량이 줄어들게 되면 화학반응이 일어나서 황산은 물로 변하게 됩니다.
물로 변하게 되면 밧데리내의 황산비중이 줄어들게 되므로, 인디케이터가 파란색에서 흰색을 띄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일반 영업소에서는 교환을 하라고 하지만, 그렇다고 하여 꼭 교환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통 밧데리의 수명은 2~3년 주행거리로는 5~6만킬로 정도 되어야 극판의 노후로 인하여 수명이 다된것입니다.
인디케이터 하나만을 보고, 무조건 밧데리를 교환하게 되면 경제적으로 도움이 안됩니다.
인디케이터의 색깔이 하얗게 변햇을때 조취요령을 알려드리겟습니다.
ㄱ. 제조년월일 판별 2~3년이 되었는가를 확인하세요.
ㄴ. 밧데리의 배가 불렀는지 확인
ㄷ. 전압테스터기가 있으면 V (볼테이지) 확인
세가지를 다 확인한다음
제조년월일이 2~3년되었으면 과감히 교환, 그에따라 배가 불렀다면 과감히 교환]
올방전 - 즉 0V 가 나온다면 과감히 교환. (2~3년 된경우의 밧데리)
1년 이하의 밧데일경우 방전시켰을 때는 V(볼테이지) 체크 한후 10.5V 이상일경우는 점프를 하고, 4시간 이상 운행 하면 살아날 확률이 높습니다. 10.5V 이하일경우는 차체내에서 충전이 힘드므로, 가까운 영업소나, 충전기로 2~3일정도 충전시켜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인디케이터가 하얗다고 하여 시동이 안걸리는것은 아닙니다.
전압을 재었을때 12.6~13V 가 나오면 시동은 잘 걸립니다
2~3일정도 충전을 시켰는데도 눈이 파란색으로 돌아오지 않을경우. ^^
비밀을 알려드리겟습니다. 밧데리를 들고 뒤집었다 엎었다 두세번하면 인디케이터창이 파랗게 돌아옵니다.
그리고 인디케이터는 6개의 내부셀중에 한개의 셀 내부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입니다.
다시말하자면 6개중한개의 상태를 인지하여 나머지 셀의 상태를 감안하라는 배려(?)라고 생각하세요.
즉 인디케이터는 밧데리의 수명과 큰 관계가 없다는것을 증명하는것입니다.
4.겨울철 시동이 잘 안걸리는 이유
밧데리는 온도에 매우 민감합니다.
상온 25도를 기준으로 밧데리의 효율은 100% 의 기능을 발휘합니다.
하지만 25도에서 1도씩 내려갈때마다 밧데리의 효율은 0.8%씩 감소하게 됩니다.
그래서 영하가 되면 밧데리의 성능은 60~70% 정도의 효율밖에 나오질 않습니다.
그러하기 때문에, 겨울에 시동이 잘 안걸리게 되는것이죠.
밧데리의 전류는 겨울에도 많이 사용되지만, 여름에 더 많이 사용됩니다. 이유는 에어컨입니다. 그외에 다른 전류장치도 많은 소모량에 부가됩니다. 밧데리는 여름에 자연방전량이 많고, 겨울에 오히려 자연방전량은 적습니다. 이유는 높은온도에서는 자연적으로 흐르는 전류량이 많게 되고, 겨울에는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자연방전량은 오히려 적습니다.
'소방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소방펌프 작동원리 (0) | 2016.05.30 |
---|---|
[스크랩] 소방펌프 작동원리 (0) | 2016.05.30 |
[스크랩] 2016년 상반기 소방장비 확인점검 서면평가 예상문제(운전) (0) | 2016.05.28 |
[스크랩] 2016년 상반기 소방장비 확인점검 서면평가 예상문제(운전) (0) | 2016.05.28 |
[스크랩] 폼 송수량 조절밸브의 숫자 의미 (0) | 2016.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