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가, 굴절에서 아우트리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의 종류는 무엇인가?
답) 근접센서
2. 사다리의 전개길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보통 사다리 1단과 2단 사이에 설치하며 1단과 2단의 신장/수축을 감지하는 센서는 무엇인가?
답) 신장센서
3. 고가차에서 승강기 와이어 절손이 발생할 경우 추락방지용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추락방지용 브레이크의 종류 2가지는 무엇인가?
답) 캠식브레이크, 걸쇠식브레이크
4. 고가사다리의 안전장치 중 승강기자동정지장치는 풍속 몇 m/s 이상에서 자동작동 하는가?
답) 8m/s
5. 고가사다리차의 지상고란?
답) 사다리를 최대 기립각도로 전부 신장 했을 때 지표면으로부터 사다리 최상단 횡봉까지의 수직 높이
6. 고가사다리차의 기립각도가 45도 이하의 낮은 각도에서 승강기를 작동한다면 어떤한 문제가 발생하는가?
답) 승강기 작동이 되지 않는다.
7. 고가사다리 차량에서 주행 중 급정지 시 사다리 인출을 방지하는 장치는?
답) 사다리 고정장치
8. 고가, 굴절 차량에서 장비의 오작동 등으로 조작자의 의지와 무관하게장비가 작동할 경우 모든 기능을 정지 시킬 수 있는 장치는?
답) 비상정지 스위치
9. 조작자가 승강기 작동 시 제일 먼저 작동되는 장치이며, 이 장치가 작동되어야 승강기가 작동된다. 이 장치의 감지센서 오작동은 사다리의 상승/하강, 신장/수축이 작동되지 않게 한다. 이 장치는?
답) 승강기 고정장치
10. 겨울철 AC전원(자동이탈식 수구)를 통하여 유압 작동유를 히팅 할 경우 몇 ℃로 유지할 수 있나?
답) 20 ~ 40。C
11. 유압탱크내 작동유 오일량은 탱크 용량의 몇 %이어야 하는가?
답) 80%
12. 아우트리거 완전 수축 상태에서 수축 방향으로 레버 작동 시 최고 압력이 나타난다. 어느 항목을 측정하기 위함인가?
답) 릴리프압력
13. 유압파이프 등의 파손으로 인한 지지기능 및 전복방지를 위한 안전장치는 ?
답) 파일럿 체크밸브
14. 자동으로 아우트리거를 작동 시 최대 몇도 이내에서 수평 작업이 가능한가?
답) 5도 이내
15. 센서 무시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시 주의하여야 할 사항은?
답) 안전장치에 의한 자동 정지 되지 않는다.
16. 아우트리거 조작반에서 “하부선택”이 되지 않으며, 사다리 안착 시 자동 정지가 되지 않을 시 점검하여야 할 곳은?
답) 사다리 안착센서
17. 사다리 수축 시 록킹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다. 점검하여야 할 곳은?
답) 사다리 수축완료 센서
18. 승강기를 상승할 때 상승/하강 지점에 도달하기 전 자동으로 저속 운전이 되지 않는다면 점검하여야 할 곳은?
답) 승강기 상승/하강 저속 리미트
19. 전선이 가까운 곳에서 작업 할 때 전선의 전압량을 모를 때 최소 몇 m이상 거리를 유지해야 하나?
답) 5미터
20. 리턴필터에 장착된 게이지는 어떤 상태에서 점검 하여야 하는가?
답) 장비 최고 RPM 동작상태에서 아우트리거 펼칠 때 점검
* 노란색 깐으로 지시 바늘이 넘어간 경우 교체 시기임.
21. 차량 엔진 동력을 소방펌프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는?
답) P.T.O.(동력인출장치)
22. 포소화약제가 물탱크 내로 역류하는 원인을 쓰시오
답) ① 폼 방사중 관창에서 일방적인 폐쇄시 ② 자체급수구 열림 또는 닫힘불량
23. 진공펌프는 정상 작동되나 진공도가 저하되는 일반적인 원인은?
답) ①지수밸브 불량 ②진공오일 흡입이 되지 않을때
24. 방수를 위하여 방수구를 열고 흡수 시 진공펌프는 정상 작동하나 흡수가 되지 않을 때 제일먼저 점검해야 할 곳은?
답) 지수밸브, 역류방지밸브(논리턴 밸브)
25. 고층건물 화재진압 중 갑작스런 기관정지 시 낙수(물이 빠져나감)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밸브는 무엇인가?
답) 역류방지밸브 또는 논리턴밸브
26. 진공펌프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켜주며, 양수장치의 완료램프를 점등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부품은 무엇인가?
답) 압력스위치 또는 압력센서
27. 소방펌프차에서 모든 밸브를 닫고 진공을 잡은 후 방수구를 열었을 때 급속하게 진공누기가 발생했다면 어떤 밸브의 문제라 생각하는가?
답) 역류방지밸브 또는 논리턴밸브
28. 진공펌프의 압력스위치는 방수압력 몇 kg/㎠에서 작동하여야 하는가?(소방펌프검정기준)
답) 3kg/㎠이내 또는 3kg/㎠
29. 소방펌프 차량에서 게이지의 종류 중 진공, 압력상태를 모두 표시하는 게이지는 무엇인가?
답) 연성계
30. 진공펌프 작동 시 펌프와의 통로를 개방시켜 공기를 배출 시키고 양수 시에 진공펌프로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밸브는 무엇인가?
답) 지수밸브
31. 흡수구와 동일한 배관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소방차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바로 펌프에 공급해주는 밸브는 무엇인가?
답) 중계구
32. 전자식 엔진을 사용하는 소방차량에서 가속페달과 무관하게 RPM을 원격으로 조작 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는 무엇인가?
답) 크루즈스위치 또는 크루즈모드
33. 중계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직결관의 호칭은 몇 mm 인가?
답) 65mm
34. 폼 혼합방식 중에서 방수라인에 약제주입 전용 펌프를 설치하여 방수관로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소화원액을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으로 정확한 폼 혼합이 가능한 방식은 무엇인가?
답) 프레져 사이드 프로포셔너 또는 PSP방식
35. 방수배관 내에 물이 없는데도 자동양수장치에 완료램프가 점등되며, 진공펌프 작동스위치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어느 부품의 문제인가?
답) 압력스위치 또는 압력센서
36. 소방펌프의 축봉장치 중에 물이 1초에 2~3방울 정도 떨어지는 상태로 조절해야 하며, 그리스를 주입해야 하는 패킹은 무엇인가?
답) 그랜드패킹
37. 소방펌프의 축봉장치 중에 회전링과 고정링으로 구성되어 물의 누수를 방지하며, 물이 없는 상태에서 3분 이상 공회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답) 메카니컬씰
38. 엔진 팬벨트 장력의 적정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의 중앙부를 엄지손가락(약10kg)으로 눌렀을 때 처짐량이 어느 정도면 정상인가?
답) 10mm
39. 진공펌프 성능 유지 점검에서 진공압력의 누기는 10초에 몇 mmHg 이하이어야 정상인가?(펌프탑재 소방자동차 주간점검부 기준)
답) 10mmHg
40. 소방펌프에서 규격 방수 시 A-1급 소방펌프의 경우 분당 방수량은?
답) 2,800L, 또는 2,800L/min
41. 진공펌프 작동 시 방수배관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층건물 화재진압 시 낙수(물이 빠져나감)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밸브는 무엇인가?
답) 역류방지밸브 또는 논리턴밸브
42. 화재현장 열기로부터 차체를 보호하기 위해 가압수를 이용하여 살수하는 장치는 무엇인가?
답) 자위분무장치
43. 65mm로 규격화 되어있으며, 나사는 암나사로 소방호스의 수나사를 연결할 수 있으며 물탱크에 바로 급수할 때 사용되는 밸브는?
답) 보수구
44. 화학소방펌프자동차에서 분말소화장치의 가압용 질소용기는 게이지 압력이 몇 ㎏/㎠미만 시 재충전하여야 하는가?
답) 80㎏/㎠
45. 소방자동차 주간점검부 항목에서 진공펌프의 최대진공도는 30초에 몇 mmHg 이상이어야 정상인가?
답) 660mmHg
46. 진공펌프 작동 시 최대 진공도는 대기압의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답) 84%이상
47. 소방차량의 연성계는 어느 부분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인가?
답) 흡입측의 압력
48. 소방차량의 연성계가 5kg/㎠을 지시하고 있다. 무엇을 나타내는가?
답) 타 차량이나 소화전에서 중계구에 중계송수 중이다
49. 양수작업 완료 시 물의 압력에 의해 진공펌프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는 것은?
답) 지수밸브
50. 동력인출장치(PTO)에는 어떤 종류의 오일이 들어가는가?
답) 기어오일
51. 방수압력을 상승 시킨 후 엔진 RPM을 급격히 하강 하였을 때 압력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점검해야 할 항목은?
답) ① 역류방지밸브 ②자체급수구, 방수구 누수, ③배수밸브 ④송수밸브(폼장치)
52. 물 탱크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배관은?
답) ① 메인배관 ② 자체급수 배관 ③ 보수구(배관)
53. 일반적인 소방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포 소화약제 혼합방식은?
답) 펌프프로포셔너 방식
54. 진공펌프 점검 시 흡수중 방수구 흡입감촉을 확인하는 이유는?
답) 역류방지 밸브의 이상 유 ․ 무 확인을 위해
55. 물탱크의 압력변화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며, 주행 중 탱크내 물이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은?
답) 오버플로어 배관
56. 차량 Key on시 에어를 특장부분으로 연결시켜 주고, off시 차단하여 에어누기를 방지하는 장치는?
답) 에어메인 솔레노이드 밸브
57. 소화전 또는 중계 송수의 경우 펌프 프로포셔너 방식의 경우 폼 방사 방법은?
답) 흡입측에 정압이 발생하므로 물탱크에 물을 받아서 사용한다.
58. 프레져사이드프로포셔너 방식을 사용할 경우 컨트롤 유닛에 세팅해 둔 농도조절 값에 따라 약제를 압입한다. 송수량을 감지하는 장치는?
답) 플로우미터
59. 프레져사이드프로포셔너 방식의 소방차량의 경우 모든 방수구에서 폼을 방사 할 수 있는가?
답) 플로우미터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밸브)에서만 폼을 방사할 수 있다
60. 분말소화장치의 경우 질소가스 1차측 내압은?
답) 100 ~ 150kg/㎠
61. 분말소화장치의 경우 가압용 진소가스 1차측 압력계 청색범위(100 ~150kg/㎠)이며, 송압밸브를 열어 분말탱크내로 들어가는 변환된 2차측 압력은 얼마인가?
답) 10 ~ 12kg/㎠
62. 프레져사이드프로포셔너 방식의 경우 정상 작동 중 “hiFLo”라고 표시되고 있다. 이유는?
답) 방수량이 폼 펌프의 혼합할 수 있는 범위 초과
63. 메커니컬씰이 설치된 소방펌프에서 1초당 몇 방울의 물이 떨어지는게 적당한가?
답) 물이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64. 이동식 엔진 배연기는 밀폐된 장소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이유는?
답) 주위의 산소농도가 떨어져서 엔진 시동이 꺼질 수 있다.
65. T/M PTO 장착차량의 PTO 오일량 점검은 어디에서 하는가?
답) 자동밋션오일(밋션오일과 PTO오일은 동일)
66. 소방펌프는 물이 없는 상태에서 공회전을 3분이상 하지 않도록 한다. 어떤 타입의 소방펌프인가?
답) 메커니컬씰타입
67. 화재 진압 중 소방차량을 열기로부터 보호해 주는 장치는?
답) 자위분무장치
68. 자동변속기 장착차량에서 PTO가 투입 되지 않는 엔진 회전수는?
답) 900rpm이상
69. 진공 작업 중 전자클러치가 슬립하여 전자클러치를 점검한 결과 오일씰 불량에 따라 오일이 전자클러치에 묻어 있다. 이것으로 보아 소방펌프는 메커니컬씰과 그랜드패킹 중 어떤 타입인가?
답) 메커니컬씰 타입
70. 진공펌프 점검은 30초간 작동 후 정지한다. 이때 펌프 회전계의 적정 rpm은?
답) 1,000 ~ 1,200rpm
71. 방수 중에 연성계가 “0”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질 경우 펌프내에 기포(캐비테이션 현상)가 발생하여 펌프 내벽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대처 방법은?
답) 펌프 회전을 내려 방수량을 감소시킨다.
72. 방수구 등 밸브의 개폐 시 하중은 몇 kg이하이어야 하나?
답) 10kg이하
73. 배수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장시간이 지나도 배수밸브를 통해 물이 떨어지고 있다면 점검해야 할 곳은?
답) 메인밸브
74. 차량 주행 시 원심력에 의한 차량 전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답) 방파판
75. 차량 배터리 교체 시 케이블 분리/결합 방법을 설명하시오?
답) 분리시 : (-)단자 분리 후 (+)단자 분리
결합시 : (+)단자 결합 후 (-)단자 결합
76. 엔진오일의 색깔이 우유색이다 이유는?
답) 냉각수 유입
77. 운행 중 브레이크 오일이 부족할 경우 조치 사항은?
답) 위스키나, 독한소주 등을 이용하여 보충할 수 있다
(사용 후 즉시 브레이크 오일 교체)
78. 공압식 브레이크에서 압축공기를 기계적인 힘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는?
답) 브레이크 챔버
79. 자동차 동력 전달계통으로 자동차가 회전(선회)시에 좌,우 바퀴의 회전수를 다르게 하여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는?
답) 차동장치
80. 타이어 사이드월 쪽을 보면 (DOT ** ** **** 3105) 이런 식으로 표기가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무엇을 표시하는 것인가?
답) 타이어 생산년도와 제조된 주(몇째주)
81.엔진 차량의 경우 출동 및 에어충전 등의 이유로 시동 직후 가속페달을 밟으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곳은?
답) 터보차져(Turbocharger)
82. 자동변속기 오일의 4가지 주요 기능은?
답) 유압전달(동력전달), 청정, 윤활, 냉각
83. 발전기 배선 터미널 점검관련하여 “B”단자 점검 시 및 조임 시 주의하여야 할 이유는?
답) 배터리 “+”단자와 직결되어 있다.
84. 타이어 공압이 규정치보다 낮을 경우 고속으로 장거리 운행을 할 경우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답) 타이어과열로 인한 스텐디웨이브현상 → 계속 주행 시 파열
85. 타이어의 과다 마모, 조향성능 저하, 연비 저하, 과열에 의한 타이어 사고 등을 초래하는 타이어 공기압력은 규정치보다 어떠할 때 나타나는 현상인가?
답) 낮은 공기압
86. 엔진 팬벨트 장력의 적정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의 중앙부를 엄지손가락(약10kg)으로 눌렀을 때 처짐량이 어느 정도면 정상인가?
답) 10mm
87. 앨리슨 자동변속기는 구동축의 손상을 막기 위해 어느 엔진 RPM이하에서만 전, 후진 변속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가?
답) 900RPM
88. 차량의 후륜 2축 중 어느 한쪽이 수렁에 빠져서 슬립현상을 일으킬 경우 용이하게 수렁에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는 무엇인가?
답) 디퍼런셜 록 스위치
89.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로 요소수를 주입하는 소방차의 경우 요소수를 보충하지 않고 주행한다면 엔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답) 엔진출력저감
90. 앨리슨 자동변속기 작동방법 중 중립위치에서 기어를 D나 R위치 시 RANGE INHIBIT 경고등이 점등되고 기어변속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무엇을 작동하지 않았는가?
답) 풋브레이크 작동
900RPM이하 인지 확인
91. 앨리슨 자동변속기에서 통상적으로 기어가 전진 또는 후진에 투입되어있는 상태에서 PTO를 투입하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일부차량 제외)
답) PTO가 투입되지 않는다.
92. 내리막길 등에서 브레이크를 과도하게 작동하여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는?
답) ①베이퍼록 현상 ②페이드 현상
93. 겨울용 스노우 타이어를 교환하지 않고 15℃ 이상의 기온에서 계속 사용할 경우 생기는 문제점은?
답) ①타이어마모증가 ②회전저항이 높아 연비저하 ③제동거리가 길어짐
94. 유로 배기가스 규제의 목적으로 PM(입자성물질)을 물리적으로 포집하고 연소시켜 제거하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답)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95.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을 물과 질소로 환원시켜 질소산화물 배출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은 무엇인가?
답) 요소수
96. 현대 유로6 차량에서 필터에 쌓인 수트가 일정량이 되었을 때 엔진 배기열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태워 없애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답) DPF 재생
97. 현대 유로6 차량의 DPF 재생 중 정속주행 시 배기열을 높여 자동으로 재생이 진행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답) 자동재생
98. 현대 유로6 차량에서 수동재생 경고등과 엔진체크 경고등이 동시에 점등될 경우 조치방법은 무엇인가?
답) 현대상용차 서비스센터에 입고하여 서비스재생을 받는다.
99. 현대 유로6 차량에서 수트게이지 단계별 상황 중 6~8단계(수동재생 구간)에서 계기판에 황색경고등이 점등될 때 조치방법은 무엇인가?
답) 차량 정차 상태에서 DPF 수동재생을 실시한다.
100. 현대 유로6 차량에서 관리소홀로 인한 수트게이지가 세 번째 영역(9단계, 10단계)에 위치할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되는가?
답) 엔진 출력제한이 발생한다.
'소방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소방펌프 작동원리 (0) | 2016.05.30 |
---|---|
[스크랩] 소방펌프 작동원리 (0) | 2016.05.30 |
[스크랩] 2016년 상반기 소방장비 확인점검 서면평가 예상문제(운전) (0) | 2016.05.28 |
[스크랩] 폼 송수량 조절밸브의 숫자 의미 (0) | 2016.04.18 |
[스크랩] 공압 - 정압기 / 정압조정기 / 에어안전장치 (0) | 2016.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