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차

[스크랩] 혹한기 소방차 밧데리 충전 및 테스터기 사용방법

불떵이 2015. 7. 16. 22:23

 

최근 기온의 급강하로 인하여 소방차 밧데리가 방전되어 문제가 연일 발생하고 있습니다

혹한기에는 온도가 영하10도씩 하강할때마다 배터리 화학작용(전기생산)속도는 50% 이하로 저하되어

급속히  방전이 됩니다


또한 소방차에는 각종장치들로 인하여  밧데리가 조금씩 소모되고 있어 방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소방차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전압을 체크하면 28V이상이 나와야 정상입니다

 

소방차 밧데리의  전압은 평소에 시동전에는 25v 이상 나와야 합니다.


 (구급차는 차량충전기로 충전하고 펌프차는 전기충전기로 충전하면 좋습니다)

 

 

시동점검만으로는 밧데리충전이 되지 않으므로 동절기에는 보름에 한번씩  충전하시길 바랍니다

 

 

차량충전기 사용법

 

1. 220V AC 전원을 차량뒤 충전기에 끼워넣는다(소방차 뒤쪽에 콘센트(시동시 자동분리됨)

2. 좌측 VOLT 을 26V로 조정하고 우측 전류을 15A에 맞추고 12시간 정도  지나  충전이 완료되면 스위치가 자동으로 차단되어 배터리 과충전을 방지합니다

 

  

 

 

 

 

겨울철 기온이 10도씩 하강할때마다 배터리 화학작용(전기생산)속도는 50% 이하로 저하되어 방전이 됩니다

 

 

직류 [Direct Current]

직류(DC)란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전압이나 전류를 말합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소방차 배터리는 직류(DC)을 사용합니다

 

 

교류 [Alernating Current]

반대로 교류란 시간적으로 변화, 즉 주파수 성분이 존재하는 전압이나 전류를 말합니다.

가정용 전기는 교류(AC)을 사용합니다

 

 

         전기충전기 사용방법

 

 

 

 붉은색은 +  ,  검정색은 -

 

 

※ 배터리 충전시 주의사항

 

1. 밧데리 단자연결을 반대로 연결하지 않는다. / 빨간색은 플러스, 검은색은 마이너스 연결용

2. 환기를 시키거나 환가기 잘 되는 곳에서 충전한다. / 폭발우려

3. 15A 이상의 고전류로 충전하지 않는다 / 배터리가 폭발한다.

4. 처음엔 저전류로 장시간 충전 점차 높은 전류로 짧은 시간에 충전하는 방식으로 충전한다.

 가. 그림에서 5번에 해당되는 로터리 스위치를 이용 처음엔 1단을 맞추고 8시간 정도 충전하고

 나. 로터리 스위치를 이용 2단을 맞추고 6시간 정도

 다. 3단을 맞추고 3시간 ...... 완충되면 1번에 해당하는 암페어 지침계의 바늘이 0을 지시하게 된다.

      즉 충전전류가 나가지 않는다는 것

 

급속충전기능 : 급속충전은 높은 전류로 짧은 시간에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말하는데...

배터리 수명이 짧아진다는 단점이 있다고 하니... 일반충전방식 사용을 권장합니다.

 

밧데리 점프하다 신규직원이 반대로 연결하는 순간 스파크가 일어나

밧데리내부 수소가스에 점화원이 되어 밧데리 폭발한적이 있다고 합니다(사진참조)  

여러분들도 조심하세요^^ 

 

다행히 안쪽에서 폭발%%%

 

 

 


레귤레이터? 

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는 자동차가 구동을 할 때 충전되며 일반적으로 충전 되는 전류의 크기는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는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정됩니다.

 

미리 설정된 레귤레이터의 전압 상태(14.5V)에서 배터리가 만충전에 가까워 질 때 충전되는 전류의 크기는 줄어드는데 이는 배터리가 과충전 되는 것을 막아 장기간 높은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MF 배터리란?

전해액 회수를 극대화한 기체 액체 분리 구조와 칼슘 합금으로 만들어 수명이 다할 때까지 증류수 보충이 필요 없는 완전 무보수(MF) 배터리입니다.

 

 

 

 

혹한기에는 귀소후 전기충전기을 꼽고 히팅스위치을 넣어주는게 좋습니다

 

 

 

 

소방차 매인배관의 히팅장치입니다.

혹한기에는 펌프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220V AC 전원을 차량뒤 충전기에 끼워넣는다

(소방차 뒤쪽에 있느 충전커넥트(시동시 자동분리됨)

 

 

전기테스터기 사용법

 

 

 

1.시작하기 전에


먼저 AC 는 일반 가정용 교류전기를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하실수 있습니다.
일반교류전기는 우리가 흔히 쓰는 220V 나 110V가 있죠?
이것이 교류전기(AC) 입니다.

 

소방차는 직류전기 DC 12V 배터리 2개가  연결되어 24V 입니다

 

 

 

 

     <교류 AC V 1000>

     

    위 사진을 보면 AC V 1000에 맞추어져 있다.

    읽을 때는 1, 10, 100, 1000 단위를 본다.
    (50, 250은 제외) 위 테스터기는 10단위가 있다.
    눈금이 최대가 되었을때 1000V이다. 지침이 2를 가르키므로 200V 이다. 

        

    <소방차 배터리 직류 DC V 50> 

     

     소방차배터리 전압은 평소에 밧데리 하나에 12.4~ 12.6v 이상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시동을 걸었을때 제너레다가 제대로 작동 한다면 13.5v에서 14v까지 나와야 합니다

     

     

    3.3 직류(DC) 전류 측정(소방차 배터리)
    COM과 V·Ω·A 단자에 연결 후 측정(작은 전류), COM과 10A 단자에 연결 후 측정(큰 전류)한다.
    측정범위는 ~10DC A 까지이다.
    측정범위 : 2.5m, 25m, 250m(A), DC10A

     

     <DC A 10> 

     

     DC 10A에 맞추었으므로 3.85A 이다.
    만약 3.85A 일때
     1.COM과 V·Ω·A 단자에 연결후 DC 2.5m ~ DC 250m 측정 : 수치가 넘어간다.(측정불가)
     2.COM과 V·Ω·A 단자에 연결후 10A 단자에 연결 후 측정 : 수치가 움직이지 않는다.
    (측정 불가) 그래서 DC A 측정시 범위를 잘 판단해서 사용해야 한다.
    ※위 사진의 테스터기는 최대 DC 10A 까지 측정 가능하다.

 

     

    주로 테스터기가 고장나는 이유는  선택스위치를 저항에 맞추어 놓고 전압을 측정한 경우이다. 

     

    다르게 말하면, 전기가 살아있을때 저항을 측정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절연저항계(Megger)의 경우 살아있는 전기를 500V 전압을 줘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면 평생 잊을 수 없는 경험을 해 볼 것이다.

    한번 해보면 다시는 이런 실수를 하지 않을 것이다.

     

     

     

     

    펌프차는 DC 12V 배터리 2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24V 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소방차 시동이 잘걸리지 않어 전압을 체크해보니 23.2v가 나오더 군요

    일단 밧데리를 12시간 이상 충전시키고 난후 차량을 야간에 운행하였는데 갑자기 라이트가

    안들어오고 시동이 꺼져버리고 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밧데리 전압측정을 다시 했는데 20v가 나왔습니다.

     

    1차로 밧데리 터미널을 분리하고 터미널 이전 배선 전압을 측정한 결과 0v(밧데리 휴즈 단락의심)

    차량 발전기(알터네이터) 휴즈을 간단하게 교환하여 수리한 사례임

     

    -점검방법-

    1. 테스터기 이용 밧데리 전압측정(24V 이상 되어야 정상)

     

    2. 터미널을 탈착하던가 아님 알터네이터에서 정상적으로 충전되고 있는가 확인(25V 이상 정상)

      - 터미널에서 전압측정시 밧데리 휴즈가 나가면 0V 전압측정됨(휴즈교환)

      - 밧데리에서 전압측정시는 반드시 터미널을 탈거후 측정

        탈거를 안하고 측정하면 밧데리 전압이 측정됨) 

출처 : 소방차 만들기
글쓴이 : 무지개 원글보기
메모 :